전국체육대회 축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국체육대회 축구는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되어 단순한 스포츠 경기를 넘어 민족의 단결과 저항 의식을 고취하는 수단으로 작용했다. 1920년대에는 일반부, 18세 이하부, 12세 이하부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199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꾸준히 개최되었다. 전국체육대회 축구는 한국 축구 발전에 기여하고 사회적, 문화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국체육대회 경기 종목 - 전국체육대회 줄다리기
전국체육대회 줄다리기는 다양한 연령대와 성별의 선수들이 참여하는 종목으로, 특히 18세 이하부에서는 남자부, 여자부, 혼성부 경기가 진행되며 2023년 남자부에서는 부산체육고등학교가 우승, 서울체육고등학교가 준우승을 차지했다. - 전국체육대회 경기 종목 - 전국체육대회 야구
전국체육대회 야구는 1920년 제1회 전국체육대회부터 시작된 야구 종목으로, 일반부, 18세 이하부, 12세 이하부 경기가 진행되었다. - 1921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천황배 JFA 전일본 축구선수권대회
천황배 JFA 전일본 축구선수권대회는 1921년 시작되어 잉글랜드 FA컵을 모델로 한 일본 축구 협회 주최 토너먼트 대회이며, 우승팀에게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 자격이 주어진다. - 1921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이탈리아 그랑프리
이탈리아 그랑프리는 1921년 시작되어 몬차 서킷을 중심으로 이탈리아 모터스포츠 역사와 함께한 F1 경주 대회로, 미하엘 슈마허와 루이스 해밀턴이 최다 우승 드라이버, 페라리가 최다 우승 컨스트럭터이다. - 대한민국의 축구 대회 - 전국실업축구연맹전
전국실업축구연맹전은 1964년부터 2002년까지 운영된 대한민국의 실업 축구 리그로, K리그 출범 전에는 최상위 리그 역할을 했으며 춘계와 추계 리그로 나뉘어 매년 두 차례 개최되었다. - 대한민국의 축구 대회 -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전국축구선수권대회는 해방 직후 한국 축구 발전과 선수 발굴에 기여했으나, K리그 출범과 FA컵 신설로 위상이 낮아져 2000년 폐지 후 FA컵에 흡수 통합된 아마추어 스포츠 대회이다.
전국체육대회 축구 | |
---|---|
전국체육대회 경기 종목 정보 | |
종목 | 축구 |
영어 종목 | Football |
경기 단체 | 대한축구협회 |
단체 약자 | KFA |
전국체육대회 | |
일반부 | |
세부 종목 | 2 |
남자 종목 | 1 |
여자 종목 | 1 |
대학부 | |
세부 종목 | 2 |
남자 종목 | 1 |
여자 종목 | 1 |
18세 이하부 | |
세부 종목 | 2 |
남자 종목 | 1 |
여자 종목 | 1 |
15세 이하부 | |
세부 종목 | 2 |
남자 종목 | 1 |
여자 종목 | 1 |
12세 이하부 | |
세부 종목 | 2 |
남자 종목 | 1 |
여자 종목 | 1 |
2. 역사
제공된 소스가 없어 전국체육대회 축구의 역사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전국체육대회 축구는 1920년대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개최되고 있다. 초기에는 주로 고등보통학교 축구단이 강세를 보였으며, 점차 다양한 연령대의 팀들이 참가하게 되었다.
3. 연대별 대회
1920년대에는 1921년 전국체육대회 축구를 시작으로 매년 대회가 개최되었다. 초기에는 일반부와 18세 이하부만 운영되었으나, 1923년 전국체육대회 축구부터 12세 이하부가 추가되었다.
3. 1. 1920년대
1921년 전국체육대회 축구는 7개 팀이 참가하였으나, 우승팀은 없었다. 1922년 전국체육대회 축구는 2개 부문에서 각각 8팀, 13팀이 참가하여 휘문고등보통학교 축구단(경기)이 모두 우승하였다. 1923년 전국체육대회 축구는 일반부와 12세 이하부에서 각각 8팀, 7팀이 참가하여, 일반부에서는 배재고등보통학교 축구단(경기)이, 12세 이하부에서는 광성보통학교 축구단(경기)이 우승하였다. 1924년 전국체육대회 축구는 일반부와 12세 이하부에서 각각 12팀, 5팀이 참가하여, 일반부에서는 배재고등보통학교 축구단(경기)이, 12세 이하부에서는 영흥공립보통학교 축구단(함남)이 우승하였다.
시즌 | 참가팀 | 우승팀 | 준우승팀 |
---|---|---|---|
1921년 | 7팀 | 없음 | |
1922년 | 8팀 | 휘문고등보통학교 축구단(경기) | 중앙고등보통학교 축구단(경기) |
13팀 | 휘문고등보통학교 축구단(경기) | 숭실학교 축구단(평남) | |
1923년 | 8팀(일반부) 7팀(12세 이하부) | 배재고등보통학교 축구단(경기)(일반부) 광성보통학교 축구단(경기)(12세 이하부) | 중앙고등보통학교 축구단(경기)(일반부) 보인학교 축구단(경기)(12세 이하부) |
1924년 | 12팀(일반부) 5팀(12세 이하부) | 배재고등보통학교 축구단(경기)(일반부) 영흥공립보통학교 축구단(함남)(12세 이하부) | 평양관립고등보통학교 축구단(평남)(일반부) 광성보통학교 축구단(평남)(12세 이하부) |
4. 부문별 대회
전국체육대회 축구는 여러 부문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1920년대에는 일반부, 18세 이하부, 12세 이하부 경기가 열렸다.
1921년 제2회 대회에서는 일반부와 18세 이하부 경기가, 1923년 제4회 대회에서는 12세 이하부 경기가 처음으로 시작되었다. 1922년 제3회 대회에서는 일반부와 18세 이하부에서 각각 두 번의 결승전이 개최되었다.[1] 1946년 제27회 대회부터 대학부 경기가 추가되었다. 2020년 제101회 대회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취소되었고, 2021년 제102회 대회는 고등부만 개최되었다.[1]
4. 1. 일반부
일반부 축구 종목은 1921년 제2회 대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초기에는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 무오 축구단, 건강운동부 축구단 등 다양한 팀들이 참가하여 경쟁을 벌였다.시즌 | 참가 | 우승 | 준우승 | 비고 |
---|---|---|---|---|
1921년 | 11팀 | 없음 | ||
1922년 | 11팀 | 무오 축구단 |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 | |
12팀 |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 | 건강운동부 축구단 | ||
1923년 | 7팀 | 조선불교청년회 축구단 | 임술 축구단 | |
1924년 | 5팀 | 건강운동부 축구단 | 수양구락부 축구단 | |
1945년 | align=left | 경성 구락부 | 개성 축구단 | ||
1946년 | align=left | 운수 축구단 | 조일양조 축구단 | ||
1947년 | align=left | 조선전업 축구단 | 조일양조 축구단 | ||
1998년 | align=left | 한일생명 | 상무 | ||
1999년 | align=left | 상무 | 청구 마린스 | ||
2000년 | align=left | 한국철도 | 경찰청 | ||
2001년 | align=left | 한국철도 | 현대미포조선 | ||
2002년 | align=left | 상무 | 정우종합건설 | ||
2003년 | align=left | 현대미포조선 | 강릉시청 | ||
2004년 | align=left | 상무 | 한국철도 | ||
2005년 | align=left | 국민은행 | 한국철도 | ||
2006년 | align=left | 부산 교통공사 | 수원시청 | ||
2007년 | align=left | 강릉시청 | 수원시청 | ||
2008년 | align=left | 국민은행 | 경찰청 | ||
2009년 | align=left | 부산 교통공사 | 한국수력원자력 | ||
2010년 | align=left | 천안시청 | 코레일 | ||
2011년 | align=left | 코레일 | 수원시청 | ||
2012년 | align=left | 강릉시청 | 부산교통공사 | ||
2013년 | align=left | 부산교통공사 | 청주 직지 FC | ||
2014년 | align=left | 부산교통공사 | 김해시청 | ||
2015년 | align=left | 김해시청 | 한국수력원자력 | ||
2016년 | align=left | 천안시청 | 한국수력원자력 | ||
2017년 | align=left | 창원시청 | 전주 시민축구단 | ||
2018년 | align=left | 한국수력원자력 | 목포시청 | ||
2019년 | align=left | 한국수력원자력 | 부산교통공사 | ||
2020년 | 대회 취소 | |||
2021년 | 고등부만 개최 |
1920년대에는 남자 일반부 경기만 진행되었으며, 1922년 대회에는 결승전 없이 두 팀이 공동 우승을 차지한 기록이 있다.[1] 2020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대회가 취소되었고, 2021년에는 고등부 경기만 개최되었다.[1]
4. 2. 고등부
횟수 | 연도 | 우승 | 준우승 | 참고 |
---|---|---|---|---|
98 | 2017 | 울산 현대고등학교 | 서울 언남고등학교 | [1] |
99 | 2018 | 울산 현대고등학교 | 경기 매탄고등학교 | [2] |
100 | 2019 | 인천 대건고등학교 | 서울 경희고등학교 | [3] |
101 | ||||
102 | 2021 | 서울 오산고등학교 | 전북 전주영생고등학교 | [4] |
103 | 2022 |
4. 3. 대학부
횟수 | 연도 | 우승 | 준우승 | 참고 |
---|---|---|---|---|
27 | 1946 | 고려대학교 축구단 |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축구단 | |
28 | 1947 | 연희대학교 축구단 | 고려대학교 축구단 | |
101 | 2020 | 대회 취소 | ||
102 | 2021 | 고등부만 개최 | ||
103 | 2022 | 울산대학교 축구부 | 숭실대학교 축구부 | [5] |
4. 4. 18세 이하부
1921년 제1회 대회부터 1924년 제4회 대회까지 18세 이하부 남자 축구 종목이 개최되었다.시즌 | 참가 | 우승 | 준우승 | 비고 |
---|---|---|---|---|
1921년 | 7팀 | 없음 | ||
1922년 | 8팀 | 휘문고등보통학교 | 중앙고등보통학교 | |
13팀 | 휘문고등보통학교 | 숭실학교 | ||
1923년 | 8팀 | 배재고등보통학교 | 중앙고등보통학교 | |
1924년 | 12팀 | 배재고등보통학교 | 평양관립고등보통학교 |
1922년 대회에서는 휘문고등보통학교가 두 번 우승하고, 중앙고등보통학교와 숭실학교가 각각 준우승했다. 1923년과 1924년 대회에서는 배재고등보통학교가 우승하고, 중앙고등보통학교와 평양관립고등보통학교가 각각 준우승을 기록했다.
4. 5. 12세 이하부
1923년 제4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처음으로 12세 이하부 축구 종목이 도입되었다. 1923년 대회와 1924년 대회에는 남자부 경기만 진행되었다.
5. 의미와 영향
전국체육대회 축구는 한국 축구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된 이 대회는 한국 축구의 발전과 함께해 왔으며, 여러 스타 선수들을 배출하고 한국 축구의 저변을 확대하는 데 기여했다.
참조
[1]
뉴스
울산현대고 최준, “11번 달고 뛰는 경기가 마지막이라는 게 너무 아쉬워요.”
http://www.apsk.co.k[...]
한국스포츠통신
2017-10-27
[2]
뉴스
"[전국체전] '고교 최강 유스대결' … 울산 현대고, 경기 매탄고 꺾고 전국체전 3연패 금자탑부"
http://www.apsk.co.k[...]
한국스포츠통신
2018-10-19
[3]
뉴스
"[전국체전 화제의 팀]'인천Utd U-18' 대건고 축구부"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9-10-10
[4]
뉴스
차두리 이끄는 FC서울 유스 오산고, 전국체전 축구 우승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1-10-14
[5]
뉴스
울산대, 전국체전 축구 남대부 우승
https://news.unn.net[...]
한국대학신문
2022-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